뒤로 이동
User Stories
//
2.10.2025

2025 GROUND.N K리그 챔피언십 U18, U15 우승팀인 부산아이파크 유스의 데이터 기반 피지컬 훈련 | 부산아이파크 U18, U15 권순민 코치 인터뷰

공유하기

핏투게더의 새로운 유저 스토리, 이번 주인공은 부산아이파크 U18, U15 권순민 코치님입니다.

부산 아이파크 유스 권순민 피지컬 코치는 훈련 주기화와 부하 관리, 그리고 데이터 기반 접근을 통해 U18과 U15를 동시에 챔피언으로 이끈 주역입니다. 인터뷰를 통해 필드에서 직접 확인한 데이터 기반 지도 철학과, 선수들의 성장 과정에서 피지컬 데이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1. 안녕하세요, 코치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부산아이파크 유스 피지컬 총괄 권순민 피지컬 코치입니다.

2. 팀 내 피지컬 코치로서 가장 큰 역할과 선수들에게 강조하시는 부분이 무엇인가요?

우선 피지컬 코치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피지컬 코치는 결국 선수들이 필드, 경기장에 나와서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고 합니다. 그 역할이 가장 중요한 것 같고 그 과정에서는 당연히 운동 강도라던지 부상 예방이라던지 스트렝스, 재활, 여러 가지의 과정이 있곘지만 선수들이 축구를 잘할 수 있는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수들에게 강조하는 부분은 최상의 컨디션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컨디셔닝에 대해서 많이 소통을 하고, 그 다음 선수들에게 신체적인 피지컬적인 성장은 어떤 운동을 해야 성장을 할 수 있는지 강조를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3. 부임하신 뒤 GPS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셨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변화와 성과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이전 팀에서는 GPS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임의로 생각을 하고 프로그램을 짜고 나가서 스트렝스 위주의 훈련, 코디네이션의 훈련만 진행했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부산아이파크에 오고 나서는 전임 피지컬 코치님께서 기반을 잘 다져주셔서 우리 팀에서는 그런 강도들을 주기화대로 잘 하고 있었고요. 그렇지만 선수들이 최대 근력에 있어서는 노출이 안 되어 있더라고요. 그래서 선수들에게 그런 최대 근력 운동에 대해서 많이 노출을 시키는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4. 다양한 업무 속에서 Fitogether의 어떤 기능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나요?

저 같은 경우는 우선 특별하게 U18팀과 U15팀 두 팀을 관리해야 되는 입장이 있는데 제가 18세팀에서 훈련을 할 때 제가 15세 팀에 훈련을 참가할 수가 없기 때문에 U!8팀에 훈련을 하고 나서 U15팀의 훈련 데이터가 얼마나 나왔는지 운동 강도가 잘 설정되었는지 제가 핏투게더 리포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제가 U15팀의 훈련을 갔을 때는 U18팀의 훈련 부하를 핏투게더 리포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만약에 핏투게더의 리포트를 볼 수 없었다면 두 팀을 관리하기가 힘들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5. 현재 U15, U18 모두 피지컬 코치를 하고 계신데, 연령 별 피지컬 트레이닝의 차이점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우선 제 생각에는 이제 강도만 다를 뿐 다양한 피지컬 요소들을 가져가야 되는 거는 중학교나 고등학교 모두 같다고 생각합니다. 코어 안정성이라던지 밸런스, 유연성, 가동성, 근력 그 다음에 근협응, 파워 이런 다양한 요소들이 당연히 선수들에게 다 노출이 되어 있어야 되고요. 그것에 대한 강도만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팀의 스타일에 맞게 감독님이 추구하시는 축구 스타일에 저희들이 항상 경기마다 노출이 되어 있을 거거든요. 운동 강도라던지 HSR이라던지 아니면 스프린트 감속, 가속 그런 부분들을 감독님이 원하시는 축구를 할 수 있게끔 노출을 계속 시켜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까 전에 말씀드린대로 강도만 다를 뿐 모든 피지컬 요소들은 중학교나 고등학교나 다 훈련을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하는데 고등학교 같은 경우는 좀 더 최대 근력 위주의 훈련들을 할 수 있을 것이고 중학교 선수들은 유연성, 가동성 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부분들을 좀 확보해서 성장기에 선수들이 이러한 부분들을 잘 가져가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6. 올해 부산 아이파크는 사상 첫 U18, U15 챔피언십 동시 우승이라는 좋은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훈련 세션 설계와 피지컬 데이터 활용이 어떤 역할을 했다고 보시나요?

제가 시즌 중반에 들어오면서 이제 선수들의 이런 개인 운동 부하와 경기 부하 등 팀 데이터를 적립하는 것이 첫 번째였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중반에 들어왔을 때 이전에 있었던 전반기 리그, 춘계 대회, 협회장기 이런 경기 데이터를 다 수집했고요. 그 데이터를 다 정리 하면서 우리 선수들의 운동 부하가 이 정도구나라는 걸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 파악된 데이터를 통해서 챔피언십 전에 이제 2주간 주기화를 설정해서 데이터를 좀 녹여냈던 것 같고요. 이후 토너먼트 주기화를 준비할 때 데이터를 활용하게 되면서 선수들이 토너먼트 갔을 때 좀 더 지치지 않고 잘 적응했던 것 같습니다.

일단 U15팀 같은 경우는 운동 볼륨은 많지만 강도가 많이 높지 않은 훈련을 계속 해 왔기 때문에 챔피언십 전에 그런 강도 노출을 계속해서 시키면서 저희가 대회를 준비했고요. 그리고 사실 부상자가 많아서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부상자들이 챔피언십 도중에라도 복귀를 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계속 소통하고 강도를 올리고 경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고요. 그렇게 참여한 선수들이 결승까지 좋은 모습을 보여줘서 우승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7. 특히, 컵 대회는 토너먼트로 진행되기 때문에 빡빡한 일정과 더운 날씨로 선수 체력 관리에 부담이 컸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무더운 날씨나 토너먼트 상황 속에서 훈련 부하를 어떻게 조절하고 관리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뭐 말씀대로 굉장히 빡빡한 일정이었고요. 날씨도 많이 더웠습니다.

그래서 선수들에게 컨디션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조금 디테일하게 많은 부분들을 좀 신경 써서 관리를 했던 것 같아요. 관리하는 것 중에는 이제 먹는 거라든지 낮잠 시간 그리고 선수들이 경기 전에 해야 되는 프라이밍 세션 그 다음 회복 운동, 전해질 보충 등 신경을 많이 썼던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들을 정리해서 U18팀 U15팀이 출발하기 전에 이를 텍스트화해서 선수들에게 인지를 시켰고요. 대회 중에도 이에 맞게 관리를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경기를 뛰는 선수도 있지만 못 뛰는 선수도 있거든요. 그 선수들한테는 강도를 계속 노출시키기 위해서 경기 뛴 선수들은 회복 운동을 하고 나머지 선수들은 그 강도에 맞게 훈련을 시키고 데이터를 확인하며 진행했던 것 같습니다.

8. 코치님께서 주기화 과정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우선 제가 중반에 부임하면서 전반기 대회와 리그의 그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를 했을 때 최고 높은 수치가 나왔던 그런 경기라든지 그리고 미드필드(MF)는 가속, 감속에 대한 부분들과 사이드는 윙포워드(WF)와 수비수(DF)들의 HSR 데이터를 생각하면서 강도를 설정했던 것 같습니다. 포지션마다 HSR이 많이 나오는 선수도 있을 거고 가속, 감속이 많이 나오는 선수가 있을 텐데 그런 부분들을 선수들하고 얘기하면서 좀 많이 뛴 선수들은 근육 체크라던지 컨디션 체크를 항상 했습니다. 또한 가속, 감속이 많이 나온 선수들도 항상 따로 챙기면서 훈련하는 데 신경을 썼던 것 같습니다.

9. Fitogether의 데이터 포털(Data Portal)을 활용했을 때, 단순히 훈련 세션 기록만 보는 것과 달리 코치님께 어떤 점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저희가 보통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를 하게 되는데 데이터 포털에서 그런 부분들을 다 잘 정리해 주셔서 피지컬 코치가 해야 될 그런 본질적인 일에 더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선수와 소통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선수와 소통을 할 수 있었고요. 컨디션을 파악할 수 있었고 선수들에게 좀 더 스트렝스의 훈련들을 더 많은 시간을 내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데이터 포털 자체가 선수들에게 더 다가갈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도구가 된 것 같아서 저는 너무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10. Fitogether가 팀의 성장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게 생각하시는 장점 또는 특징을 설명 부탁드립니다.

저는 굉장히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시즌 중반에 들어와서 데이터들이 없었다면 선수들에게 그에 맞는 강도, 훈련과 경기를 준비할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그런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면서 저만의 노하우가 되고 피지컬 코치로서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고요. 감독님, 코치님들과 경기에 대한 이야기 할 때, 꼭 데이터에 대한 부분을 같이 얘기할 수 밖에 없더라고요. 그런 부분에서 좀 더 폭 넓은 분석이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11. 유소년 선수들이 성장에 있어서 기술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피지컬적인 향상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코치님께서는 유소년 시기의 피지컬 트레이닝과 피지컬 경쟁력의 중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유소년 시기 선수들은 이제 기술적인 습득이 빠르고 성장도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그럴수록 피지컬 요소들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어렸을 때부터 피지컬적인 요소들이 잘 훈련이 되었을 때 선수들이 부상 예방도 되고요. 선수들이 성장하는 데 있어서 근력을 사용하는 방식, 움직임에 대한 방식들도 올바르게 잘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선수들이 더 좋은 신체 능력을 가지고 성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성장기이기 때문에 최대 근력 운동은 사실 피하는 게 좋고요. 코디네이션 훈련을 통해서 반응들이라던지 두 가지를 인지, 반응할 수 있는 그런 훈련들을 통해서 성장하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12. 마지막으로, 피지컬 코치님이 생각하시는 앞으로의 축구팀 더 나아가 축구 산업에서 GPS 데이터의 활용 가치에 대해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우선 데이터와 영상을 같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수치만 보는 것이 아니라 영상을 통해서 보면 선수들의 데이터가 이렇게 나왔지만 언제 이 데이터가 나왔는지 영상으로 함께 볼 수 있으면 굉장히 좋을 거라고 생각을 하고요. 앞으로 AI도 접목이 된다면 진짜 피지컬 코치들이 본질적인 일을 좀 더 집중해서 할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파일 다운로드
파일 다운로드를 위해 아래 양식을 작성하세요.

개인 정보

캠페인_ID ===> 숨겨진 필드입니다
홈페이지-위치 ==> 숨겨진 필드입니다.
리드 유형 ===> 숨겨진 필드입니다.
파일 이름 ===> 숨겨진 필드입니다.
파일 URL ==> 숨겨진 필드입니다.

팀 / 기관 정보

제출하기
고맙습니다!제출이 접수되었습니다!

Your Download
is ready.

THANK YOU FOR CHASING DETAILS.

닫기
죄송합니다!양식을 제출하는 중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비슷한 기사
User Stories
/

부상 관리부터 경기력 향상까지, 포천시민축구단의 '데이터 기반 훈련 설계' 스토리

September 8, 2025
User Stories
/

48년 만의 추계대회 우승, 경희대 축구부의 ‘데이터 축구’

August 11, 2025
User Stories
/

3관왕 제주 대기고, 핏투게더와 함께한 성장 스토리

July 31, 2025